공지사항/소식

대화문화아카데미

대화문화아카데미 대화모임 ‘올림픽과 평화’가 열렸습니다

“평창(‘18)-도쿄(’20)-베이징(‘22) 올림픽을 한반도와 동아시아 평화의 모멘텀으로”

 

23일 대화문화아카데미 대화모임 ‘올림픽과 평화’ 열려

고유환 “‘올림픽 휴전’ 이후 북·미 대화 추진 시급”

이부영 “평화올림픽을 위한 한·중·일 3국 민간협의기구 구성해야”

대화문화아카데미(이사장 이삼열)는 23일 오후 3시 종로구 평창동 대화문화아카데미 대화의 집에서 ‘올림픽과 평화’를 주제로 한 대화모임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이홍구 전 국무총리,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 김진현 세계평화포럼 이사장, 이현숙 민주평화통일회의 부의장 등 30여 명의 각계 원로, 학계, 시민사회 인사가 참석해 곧 열릴 평창동계올림픽을 한반도 평화의 계기로 삼을 방안에 관한 의견을 나눴다. 아울러 당면한 평창동계올림픽뿐 아니라 도쿄하계올림픽(2020), 베이징동계올림픽(2022)이 동아시아 주요 도시에서 연속 개최되는 흔치 않은 기회를 맞아, 이것이 어떻게 동아시아 평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지혜를 모았다. 

이홍구 전 국무총리는 여는 말씀에서 “이제는 한반도, 동아시아, 세계 문제 사이의 경계가 없어진 시대이며, 지금이 평화에 대한 사고의 퀀텀점프(대약진)를 할 수 있는 기회”라며 “국내에서도 북한에 대한 기존의 진보-보수의 고정관념을 떠나 지역의 평화와 연계해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라고 대화의 문을 열었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평창올림픽과 한반도 평화’라는 발제를 통해 “평창올림픽은 문재인 대통령의 평화우선의 한반도 정책, 트럼프 대통령의 최대 압박 정책, 김정은 위원장의 경제·핵 병진정책 사이에서 ‘이익의 조화점’을 찾은 결과”라면서도 “이것은 한시적 휴전이고 불안정한 평화일 수밖에 없으며, 현 국면이 북한의 ICBM 실전배치를 막기 위한 북·미 대화로 이어져야 북핵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고 교수는 또 “남북단일팀 등에 대한 야권 일각의 ‘평양올림픽’이라는 비아냥, 국가의 일방적 결정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2030세대의 반발” 등 한국사회 내부의 남남갈등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지적했다.

이부영 동아시아평화회의 조직위원장은 ‘한·중·일 올림픽과 동아시아 평화’라는 제목의 발제에서 “동아시아의 한국 일본 중국 세 나라에서 4년간 잇따라 올림픽이 열리는 것은 세계 어느 다른 지역에서도 거의 유례가 없는 경우”라며 “평창올림픽의 평화 모멘텀을 살려 북핵과 평화협정의 협상과 타결을 이루고, 나아가 동아시아평화공동체를 형성하는 초석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조직위원장은 ‘평창 이후’의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해 평창올림픽이 개최되는 동안 ▲불의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는 군 통신선의 완전 복구 ▲이산가족 상봉과 고향방문 실시 및 편지와 동영상 교환 추진 ▲개성공단 재가동, 금강산 관광 재개 관련 초기 조치 타진 ▲평창올림픽 이후 북한 정권수립 70주년 기념일(9.9절)까지의 지속적 한반도 군사긴장 완화 조치 모색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아울러 “한국의 시민사회를 주축으로, 동아시아 평화올림픽을 치를 수 있도록 한·중·일 민간협의기구를 구성할 것”을 제안하며 “공공외교의 개념을 도입해 정부와 시민사회가 총력대응에 나서 한반도와 동아시아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진 대화 시간에는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의 사회로 평창올림픽을 평화롭게 성공시키기 위한 남남갈등의 해소 방안과 평창 이후의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에 관해 참석자들의 다양한 의견들이 오갔다. 

 

관련기사보기

 

주요 토의 사항

 

1. 이홍구 고문의 여는 말씀에서 제기된 발상의 전환, 보수와 진보의 고정된 생각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북핵위기와 한반도의 평화문제는 이제 동북아시아와 세계평화의 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보다 글로벌(Global)한 시각에서 보아야 한다. 미‧일‧중‧러의 갈등과 패권 문제와 한반도 문제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한‧미 동맹과 함께 대일, 대중, 대러 외교의 강화와 다변화가 중요하다. 또한 아세안과의 연대를 통한 동아시아의 평화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힘써야 한다. 

 

2.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외교력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민간 대 민간(people to people), 시민사회간의 교류 협력 등 공공외교(public diplomacy)가 강화되어야 한다. 한‧일 관계도 스테레오 타입(stereotype)의 틀에서 벗어나 한‧일 시민사회의 결합과 연대활동이 필요하다. 독일과 프랑스의 화해처럼 한‧일간에도 학술, 문화, 예술, 종교 등의 교류 협력이 평창, 도쿄 올림픽을 평화 올림픽으로 발전시키는 데 유익할 것이다. 이를 중국이나 북한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공식 접촉 외에도 비공식 채널을 통한 접촉과 소통이 중요한 것은 더 말할 것 없다. 

 

3.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북한과 주변 강대국들과의 다변화된 외교와 소통이 필요한데, 어려운 문제는 한국 사회의 심각한 남남갈등과 분열이다. 여야와 지역, 이념, 세대간의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대화와 계몽, 이해의 노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문재인 정부의 평화 노력도 시민사회와 보수층, 2030 세대의 지지와 후원을 받지 못하면 힘이 없고 효력을 내기 어렵다. 다양한 스펙트럼의 사람들이 자주 모여 큰 틀의 합의를 이루어야 남남갈등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평화에 대한 관점과 이해도 다양하며 갈등적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깊이 있는 논의와 합의가 있어야 한다. 

 

4. 특히 2030 세대의 통일관과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방식에 대한 반발의식에 대하여서도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었다. 보수층과 2030 세대간에 북한에 대한 혐오증과 염증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미사일만 쏘아대는 북한에 대해 왜 양보하고 호의를 베풀어야 하느냐는 불쾌감이 많은 국민들에게 있으며 평화의 가능성을 회의적으로 보는 견해들이 있다. 다른 한편 2030 젊은 세대는 개인의 인권이나 절차적 정당성과 투명성에 대한 의식과 주장이 철저하다. 민족, 평화, 통일에 대한 거시적 담론과 함께 젊은 세대의 삶과 미래에 대한 고민을 이해하며 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남남갈등은 불가피하지만 상호 인정과 대화를 통해 생산적 방향으로 극복될 수도 있을 것이다.